Google+
반응형

안녕하세요, 무더운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가을에 야외 활동을 할 때 진드기를 주의하셔야 합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쯔쯔가무시"를 옮기는 털진드기 유충이 왕성히 활동하는 시기 (9월~11월)이 됨에 따라서 야외작업이나 활동을 할 경우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쯔쯔가무시 증상과 예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쯔쯔가무시는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서 발생하는 감염병입니다. 쯔쯔가무시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1~3주 정도이며 잠복기가 지나면 갑자기 시작되는 고열과 오한, 가피, 발진, 근육통, 두통, 복통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쯔쯔가무시 증상



쯔쯔가무시 증상 : 발진


몸통에서 시작해서 몸통과 다리쪽으로 퍼지는 홍반성 구진성 발진이 나타나며 간지럼증은 없으며 1~2주 정도가 지나면 사라집니다.



쯔쯔가무시 증상 : 가피


가피는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검은 딱지를 말하는데요, 쯔쯔가무시 진단에 가장 중요한 소견입니다. 우리나라 쯔쯔가무시 환자의 절반에서 93%에서 관찰되는 가피는 남성의 경우 주로 배뽑 아래 부위, 여성의 경우 배꼽 위쪽의 흉부 전반과 배꼽 아래 부위 순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쯔쯔가무시 증상 : 발열


쯔쯔가무시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이 가능합니다. 특히 남서부지역에서 서식하는 활순털진드기 등에 물려서 발생하며 최근에는 매개진드기의 서식변화로 인해서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집중노출추정시기에 진드기에 물려서 잠복기가 지난 후 환자 집중발생시기에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하므로 농작업 등 야외활동을 하거나 야외작업을 할 때 피부노출을 최소화하는 작업복을 착용해야 합니다. 



쯔쯔가무시 예방을 위해서는 반드시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감기 유사 증상이나 가피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쯔쯔가무시 예방법



평상시 / 야외활동 전 / 농작업전


  • 전용 농작업복 구비 및 작업 시 항상 착용
  • 풀숲 제거 : 거주지 및 주변, 농경지 및 주변 등
  • 진드기 기피제 보조 사용 : 농작업복에 도포


농작업중 - 풀숲과 접촉 기회 회피


  • 풀숲에 옷 벗어 놓지 않기
  • 휴식 시 돗자리 사용
  • 농작업용 앞치마 또는 방석 등 보조도구 이용
  • 풀숲에서의 용변 금지



농작업 후


  • 농작업복 일체 세탁하기: 귀가 즉시 평상복과 분리 세탁
  • 목욕 : 귀가 즉시, 입욕 추천하나 샤워도 가능
  • 적기치료 : 농작업 수행 경험자 중 발열, 오한 등 감시상이나 가피(검은 딱지) 발견 즉시 꼭 의료기관 방문 치료


오늘은 가을철을 맞이해서 <쯔쯔가무시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날씨도 좋은데요 야외에서 활동 시 쯔쯔가무시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