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반응형

최근 건강에 대해서 이런저런 궁금증이 생겨서 여러가지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혈전용해제"라는 것이 궁금해서 찾아보았는데 여러분들과 함께 정보를 나누어보려고 포스팅을 해봅니다. 


혈전용해제 (Thrombolytic agent)란?


혈전을 용해하는 약제의 총징을 말하는데, 보통 급성 심부정맥 혈전증이나 급성 심근경색, 급성 폐경색 등의 치료에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추후에 위 질병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구요, 우선 혈전이라 불리는 것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피브린 등의 혈관의 내측에 응고한 것을 말합니다.


혈관을 뚫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혈관을 뚫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


혈전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가 활성화 됩니다. 특히 뇌경색이나 뇌졸중의 60%,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의 40%는 혈전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혈전용해제는 혈전용해효소인 플라스민의 전구체인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전환하는 활성을 가집니다. 이 플라스민이 혈전부에 추출한 피브린을 분해해서 혈전을 용해시킵니다. 


우리몸에 혈액순환이 잘 되야 합니다.우리몸에 혈액순환이 잘 되야 합니다.


일본에서 가장 널리 임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신장에서 만들어지는 효소인 유로키나아제입니다. 오줌 속에 배설되므로 사람의 오줌으로부터 추출하여 제품화되었으나 역시나 원료공급의 문제점이 있어서 신장세포의 대량 배양에 의한 UK의 제품화가 이루어지게 되었죠.


당신의 머리에 뇌경색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당신의 머리에 뇌경색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뇌경색이 일어났다면?


뇌경색의 경우 빠른 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혈전용해제로 혈전을 파괴하거나 기계적으로 제거함으로서 폐색을 없애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혈류가 빨리 회복이 될수록 뇌세포의 파괴가 줄어들게 되어 치명적인 장애를 막을 수 있습니다. 


뇌졸중 후유증뇌졸중 후유증


뇌경색의 위험신호는 무엇이 있나?


- 갑자기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저리고 감각이 없다.

- 갑자기 말을 못하거나 무슨 말인지 알아듣지 못한다. 

- 말할 때 발음이 어둔하다. 

- 멀미하는 것처럼 심하게 어지럽다. 

- 걸으려면 술 취한 사람처럼 휘청거린다.

- 갑자기 한쪽이 흐리게 보이거나 한쪽 눈이 잘 안 보인다. 

- 갑자기 심한 두통이 있다.


뇌경색이 일어나면 혈전용해제로 치료가 가능하다뇌경색이 일어나면 혈전용해제로 치료가 가능하다


뇌경색의 예방법은 무엇인가?


-  위험 인자(비만, 스트레스, 먹는 피임약 등)를 줄인다. 

-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심장병 등이 있는지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 적극적으로 치료한다. 

-  평소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짠 음식,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제한한다.

- 무리한 운동보다는 가벼운 산책, 맨손 체조, 등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한다.

-  금주, 금연한다.


건강하게 살려면 운동을 해야합니다.건강하게 살려면 운동을 해야합니다.


간단하게 혈전용해제에서 알아보았으며 혈전용해제가 치료제로 쓰이는 뇌경색의 위험신호와 예방법에 대해서 적어봤는데요, 가장 좋은 것은 건강을 미리미리 챙기는것이겠죠?


우리 모두 건강하게 살도록 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