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반응형

사무직에 종사하는 제 주변 친구들중에서 몇 명이 얼마전부터 손과 팔을 주무르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업무를 볼 때 수시로 손발저림 증상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과도한 업무로 인해서 목과 어깨통증이 생겨난 것과 더불어서 팔저림이 지속되자 병원을 내원해서 진단을 받아보니 목디스크 초기증상이라는 진단을 받았다고 합니다. 


피로로 인한 혈액순환장애로 생각했던 손팔저림이 디스크의 손상으로 나타난 증상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 친구는 현재 치료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제 친구와 같이 20~30대의 젊은 연령대에서 목디스크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퇴행성 질환이라고 여겨졌던 목디스크가 이처럼 젊은 연령대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일상생활화됨에 따라서 잘못된 자세가 습관화된 데 따른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목을 빼고 컴퓨터 모니터를 가까인 보는 자세 및 고개를 숙인 채로 장시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습관은 경추의 정상적인 배열을 상실시키며 현대적 질병이라고 불리는 일자목, 거북목증후군 등을 유발시킵니다. 


손발저림 증상, 방치하면 안되요.손발저림 증상, 방치하면 안되요.


그리고 이와 같은 거북목과 일자목은 변형된 목뼈의 구조로 인해서 머리무게를 지탱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정상적인 목뼈의 기능을 상실하며 주변의 근육과 인대도 약화시켜서 경추 사이의 추간판에까지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손상이되고 밀려나온 디스크가 주변의 시경근을 자극하고 압박하게 되면서 손발저림으로 나타나는 목디스크 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손발저림 증상손발저림 증상


그래서 비교적 젊은 나이라고 해도 손발저림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어깨와 목 통증 등이 동반되고 있다면 증상을 가볍게 넘기지 말고 검사를 받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환자들이 손발저림을 혈액순환장애로만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일명 추간판탈출증이라고 하는 디스크질환에서도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초기 디스크가 많이 밀려나지 않은 상태라면 비수술적 수술을 통해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의심이 된다면 바로 병원에 내원해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경추디스크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일자목과 거북목질환의 환자분들이라면 발전가능성이 큰 만큼 사전 교정치료를 통해서 예방을 해주는 것이 좋으며 평상시에도 자세습관을 올바르게 교정하고 꾸준한 스트레칭 및 운동습관을 통해서 목주변의 근력을 강화시켜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01234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사용시간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인만큼 20~30대라고 할지라도 손발저림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면 목디스크의 위험성을 인지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동안 IT기기의 사용을 자세하는 것이 좋으며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올바른 자세습관과 함께 목건강에 도움이 되는 운동과 생활습관을 길들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손발저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