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반응형

야맹증, 사전적인 의미로는 "밤에 잘 볼 수 없는 증상"입니다.

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어두운 곳이면 어디서든 사물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야맹증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야맹증 증상


밤이나 조명이 약한 환경(상황)에서 시력이 떨어져 사물을 구분하기 어려운 야맹증은 시력장애의 일종이라고 봐야 합니다. 특히 야간에 운전할 경우 전조등이나 신호등의 간헐적인 깜빡임을 볼 때, 터널을 통과할 때 야맹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야맹증의 치료는 증상에 다라서 치료가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로 나뉘기 때문에 우선 안과에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아야 원인을 알고 대처가 가능합니다.


야맹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시력장애


  • 근시
  • 백내장
  • 망막색소변성증
  • 어셔증후군
  • 녹내장
  • 황반변성
  • 시신경염


등이 있습니다. 



근시의 경우 원거리 사물을 또렷하게 볼 수 없는 시력장애인데 야맹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시력교정으로 치료는 가능합니다.



백내장의 경우 노환질환으로 눈 속의 수정체가 혼탁해져서 시야가 흐려 보이는 증상으로 밤과 낮에 눈부심 등 시력장애를 겪게 됩니다. 그래서 노년층에서는 야맹증이 흔하게 발견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백내장 수술을 해서 시력을 개선하게 되면 야맹증이 완화되거나 없어집니다.


망막색소변성증의 경우 안구의 망막색소상피가 변성이 되어 시야가 좁아지는 불치병입니다. 안타깝지만 현재까지 예방법이나 치료법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양제나 약물로 진행속도를 늦추는 정도에 불과합니다. 



어셔증후군은 청각장애와 함께 시각장애가 점차 진행되는 유전질환입니다. 

이것 역시 망막색소변성증과 함께 특별한 치료방법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야맹증에 도움이 되는 음식



비타민A가 풍부하게 함유된 음식을 꾸준하게 섭취하면 야맹증 뿐만 아니라 백내장 발병 위험도 줄일 수 있습니다. 비타민A가 풍부하게 함유된 음식으로는 망고, 멜론, 고구마, 호박, 당근, 시금치, 유제품, 생선 간유, 달걀, 동물의 간, 김, 미역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야맹증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눈의 건강은 아무리 강조를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평소에 잘 관리를 하셔야합니다.


반응형